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태양계 진짜 사진 (이미지 모음)

감동*신기한 이야기

by .Blog 2020. 2. 20. 16:18

본문

반응형

태양계의 진짜 사진

왼쪽 부터

태양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혜왕성 명왕성 

의 순서대로 있다. 

 

첫번째 

태양 사진

그 거대한 태양에서 저런 거대한 힘이 뿜어져 나온다는게 상상이 안간다.

 

태양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


수성

태양에 가깝기 때문에 지옥 처럼 뜨거운 곳일 텐데

불덩이 처럼 보이지는 않고 오히려 아주 차갑고 삭막해 보인다.

 

 

수성 - 나무위키

지구의 37.7%밖에 안 될 정도로 매우 약하다. 예를 들어 지구에서 체중이 100kgf 나가는 사람이 수성에 가면 겨우 37.7kgf 밖에 나가지 않는다.

namu.wiki

 


금성

금성이 이렇게나 아름다운 곳일줄 몰랐다. 

서양에서는 사랑과 미의 여신인 '비너스'로 불리고

동양에서는 금성으로 불리는 이유를 알게 해주는 사진이다. 

 

 

금성에 이미 러시아 미국에서 여러차례의 시도와 탐사가 있었다는 사실도 최근에야 알게 되었다.

아래 이미지는 실제 금성을 탐사선이 찍은 사진이라고 한다. 

 

금성 - 나무위키

지구온난화를 언급하면서 자주 회자되는 행성이며, 실제로 온실효과의 표본이다. 대기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이며, 엄청난 온실효과로 인해 지표의 기온은 무려 459℃에 달한다. 또한 대류권이 지표에서 80km까지 존재하기에 엄청난 힘의 대류운동이 일어나 평균 풍속이 360m/s나 된다. 태풍 매미의 풍속이 50m/s였다는 걸 생각하면 금성의 풍속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강력하다. 더군다나 구름이 온통 고농축 황산이라 비가 내릴 때는 황산비가 내린다. 물론 황

namu.wiki

 

아래는 러시아가 금성에서 녹음한 소리

 

 


 

우리의 지구 

아래 이미지는 2015년에 찍은 사진

 

지구 - 나무위키

지구가 또 멸망했습니다. 으이그...- 부기영화 9화 매드맥스 편 판타지 재난물에서는 그야말로 몸 성할 날이 없는 영고라인 행성이자 외계 침략자들의 무덤이다. 그거야 인류가 살아본 행성이 지구밖에 없으니까 대체로 많은 SF 매체에서 전투종족인 인류의 모성이자 인류 사회의 요람으로 인식된다. 이른바 이 지옥 같은 행성. 까놓고 이야기하면 드넓은 우주의 한 구석에 있는 작은 행성일 뿐인데 왜 항상 수많은 악당들의 표적이 되는 것인지는 불명이다. 사실 근방에서

namu.wiki

 


화성

고대의 과학자들이 이름을 정말 잘 지었다고 느껴진다. 

전쟁의 신 마스(마르스) 동양에서는 화성

역시 이미즈를 보면 그 느낌이 전해진다. 

 

2020년에는 화성을 향한 많은 시도와 연구가 진행 계획에 있어 아주 기대 되고

설레게 한다.

 

화성의 표면을 직접 찍은 사진

화성에 이미 탐사선이 돌아다니며 연구 목적의 자료를 모으고 있다. 

아래는 더 근접한 지표면의 사진

 

화성인데도 지구의 돌 모래와 달라보이지 않는다. 

 

 

화성 - 나무위키

위성으로 포보스(Phobos)와 데이모스(Deimos)불량감자가 있다. 하지만 크기와 모양이 어디서 굴러 들어온 돌덩이 수준이라, 이 두 위성은 화성의 인력에 끌려온 소행성으로 여겨진다. 다만 직접적인 포획 위성이라기에는 화성과 상당히 가깝고 무엇보다 두 위성의 궤도 경사가 화성 적도면에 상당히 가깝다. 때문에 이 두 위성 역시 지구와 달처럼 대규모 충돌로 생겼다는 설이 있다. 크기가 작아서 지구와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는 토성과 목성의 위성이 발견된

namu.wiki

 

 


목성 

목성의 최근에 사진들을 보면 고흐의 그림이 연상 된다. 

신비로운 모양을 보고 있으면 그 크기와 특유의 무뉘에 압도당한다. 

어찌 보면 두려움도 밀려온다. 

 

 

목성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


토성

특유의 고리가 아름답다. 

 

 

토성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


 

천왕성

차가운 에메랄드 빛 천왕성

 

천왕성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namu.wiki

 

해왕성

 

 

해왕성 - 나무위키

[ 상세 정보 펼치기 · 접기 ] 발견발견자날짜1845년 ~ 1846년발견자갈레 · 다레스트 (독일)날짜1846년 9월 23일궤도 성질역기점 J2000 기준형태긴 반지름0.009 456태양거리원일점근일점주기공전 주기164.8 년60,182 일89,666 해왕성태양일367.49 일평균 공전 속도5.43 km/s궤도 경사(황도면 기준) 1.767 975° (태양 적도면 기준) 6.43°승교점 경도131.784°근일점 인수276.336°물리적 성질크기반지름(평

namu.wiki


 

명왕성

태양계에서 제외 된 옛가족

 

지표면이 망가진 도자기 같다.

 

 

명왕성 - 나무위키

 

namu.wiki


출처: 유튜브 채널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